본문 바로가기

꿀팁이야기

49재(49제) 상차림 방법, 복장, 계산방법 총 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엔 49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49재는 불교의 장례 의식 중 하나로 고인이 죽은 후 초재부터 7일마다 7번씩 지내는 재를 말합니다


보통 해가 떠 있는 낮에 지내며 죽은 영혼이 좋은 곳에서 환생하도록 명복을 비는 의식입니다


고인의 기일을 1일로 계산합니다


재는 불교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재계라는 뜻입니다


부처에게 복을 비는 것을 재라고도 합니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7일 간격으로 부처 앞에 음식을 차려놓고 재를 지내는데

첫 7일만에 지내는 재를 초재라고 합니다



49일이라는 숫자는 대승 불교의 전승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일반적으로 49일(7x7 칠칠일) 동안 저승에 머무르며

명부시왕 중 일곱 대왕들에게 7일 마다 심판받다가 49일 째 되는 날에 최종심판을 받고

환생한다고 해서 심판을 받는 날에 맞추어 49일 동안 7번 재를 지낸다고 합니다


이러한 전승은 우리나라 민간 무속 저승 시왕신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와 다르지만 비슷하게 49일간 매일 심판을 받는다는 전승도 있는데

영화로도 나와서 잘 알려진 웹툰 '신과함께'는 이 전승을 따르고 있다합니다



현대 한국에서 불신자들을 49재가 끝난 후 탈상합니다

49일간 7일 째 되는 날마다 재를 올려야 하지만 시간과 돈이 많이 들기에

간단히 마지막 49일인 7재만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불신자가 아닌 경우에도 49재를 지내는 경우가 있는데

유교에서 유례된 제사의 하나로 착각하여 49재를 49제처럼 지낸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물론 고인의 명복을 비는 행위로써 해온 것이니 문제될 것은 없지만


불교에서 유래된 것이고 망자의 환생과 관련이 있어 혹시나 다른 종교를 가지고 계신 분인데

집안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져 믿고있는 종교의 교리와 충돌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어

이 점은 알아두시면 좋을듯합니다


한국의 천주교나 정교회에서는 전승에 근거해 40일을 추도기간으로 삼기도하고

현대에는 장례 후 2일 뒤를 삼우제를 지내는 날이라 하여

상례를 마치는 때로 잡는 집안이 대부분이라 합니다






49재의 상차림은 통상적으로 하는 제사와 비슷합니다


밥과 국, 3색 나물과 3색 과일을 기본으로

육류, 어류를 사용하지 않고 귀신을 물리친다하는 팥, 소금, 고춧가루, 마늘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생전에 고인이 좋아했던 음식을 특별히 올리거나

생선과 고기를 함께 올리는 경우도 많아 졌습니다



49재 기간 중 금기해야할 사항


대표적으로 음주가무, 여행, 경조사 참여, 친구와 만남 등입니다


고인의 죽음을 기억하는 상중에는 즐겁고 기쁜 일을 하지않는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즐겁고 재미있을 법한 것을 기피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복장


상복이나 검정색, 무채색 정장을 기본으로 합니다


일반적인 제사와 다를 바 없이 단정한 차림이면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비용


사찰에서 준비하여 재를 지내게 될 경우


초재~7재는 500~550만원


초재와 7재 이틀만 지낼 경우 300만원


7재(49재) 하루만 지낼 경우 250만원


음식이나 대부분의 물품 및 진행은 사찰에서 도와드리며

사찰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저정도의 가격이라고 합니다


물론 집에서 준비하여 지내도 예법에 어긋나는 것은 아닙니다

고인을 모시는 정성이 가장 중요하니까요


49재 계산법


예를들어 11월 1일에 돌아가신 분은

초재는 돌아가신 날 포함 7일 째 되는 11월 7일  

2재는 그 다음 7일인 11월 14일

3재는 그 다음 7일인 11월 21일

4재는 그 다음 7일인 11월 28일

5재는 그 다음 7일인 12월 5일

6재는 그 다음 7일인 12월 12일

7재는 그 다음 7일인 12월 19일 입니다

반응형